맨위로가기

가토 다카아키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토 다카아키 내각은 1924년 6월 11일부터 1926년 1월 30일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내각이다. 호헌 삼파 연립 내각으로 출범하여 보통 선거법 제정, 치안유지법 제정, 소련과의 국교 수립, 군비 축소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연립 내각의 균열과 정우회의 정권 이탈 요구로 인해 1925년 7월 31일 총사퇴했다가, 사이온지 긴모치의 지명으로 헌정회 단독 내각으로 재구성되었다. 가토 다카아키 총리의 사망으로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임시 총리직을 수행한 후 내각이 총사퇴하고,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이 발족하면서 헌정회 내각이 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마구치 오사치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은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리대신을 맡아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재임하며 보통선거법 시행 후 정치적 혼란과 금융 공황을 겪었으며, 타이완 은행 구제안 부결로 인해 총사퇴했다.
  • 하마구치 오사치 - 런던 해군 군축 회담
    런던 해군 군축 회담은 1930년 영국, 미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가 잠수함 무장 제한 및 함선 건조 제한을 주요 내용으로 체결한 조약이며, 일본의 탈퇴로 군축 시대가 종식되었다.
  • 1925년 일본 - 박열 사건
    박열 사건은 1920년대 초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가 흑도회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펼치다 다이쇼 천황 암살 계획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 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사건으로,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과 사법부의 정치적 개입, 가네코 후미코의 의문사 등 여러 쟁점을 낳았다.
  • 1925년 일본 - 다카라즈카 가극단 15기생
    다카라즈카 가극단 15기생은 1925년 입학하여 1926년 달조 공연 "도라와라우지"로 초무대를 밟은 단원들로, 아사카제 노부루, 우라시마 미도리, 오토와 요시야 등이 활약했고 예명 변경 후에도 활동을 이어갔으며, 재단 중 사망한 하야카와 카즈코와 샹송 가수로 전향한 타치바나 카오루 등 특이한 이력을 가진 인물도 있다.
  • 1926년 일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 1926년 일본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은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리대신을 맡아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재임하며 보통선거법 시행 후 정치적 혼란과 금융 공황을 겪었으며, 타이완 은행 구제안 부결로 인해 총사퇴했다.
가토 다카아키 내각
기본 정보
내각 명칭가토 다카아키 내각
일본어 명칭加藤高明内閣
한글 명칭가토 다카아키 내각
내각 번호24대
정치 체제일본 내각
국가 원수다이쇼
정부 수반 직함총리
총리가토 다카아키 (1926년 1월 28일까지)
총리 대리와카쓰키 레이지로 (1926년 1월 28일 – 1926년 1월 30일)
전임 내각기요우라 내각
후임 내각제1차 와카쓰키 내각
1925년 3월 29일, 각료들의 모습
1925년 3월 29일, 각료들의 모습
내각 구성
성립일1924년 6월 11일
해산일1926년 1월 30일
여당헌정회, 입헌정우회, 혁신구락부 (호헌 3파 연립 내각) → 헌정회
의회 회기제49회 제국의회, 제50회 제국의회, 제51회 제국의회
총리가토 다카아키 (1926년 1월 28일 사망)
선거
선거없음
해산없음
외부 링크
관저 링크내각 명단 (일본어)

2. 내각의 성립 배경

3. 내각의 구성

wikitext

각료[1]
담당이름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가토 다카아키 백작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외무대신시데하라 기주로 남작style="color:inherit;background:;" |무소속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내무대신와카쓰키 레이지로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대장대신하마구치 오사치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육군대신우가키 가즈시게style="color:inherit;background:#bfbfbf" |군부 (육군)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해군대신다카라베 다케시style="color:inherit;background:#bfbfbf" |군부 (해군)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사법대신요코타 센노스케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6월 11일1925년 2월 5일
다카하시 고레키요 (사무 취급)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2월 5일1925년 2월 9일
오가와 헤이키치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2월 9일1925년 8월 2일
문부대신오카다 료헤이style="color:inherit;background:;" |무소속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농상무대신다카하시 고레키요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6월 11일1925년 4월 1일
농림대신다카하시 고레키요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1925년 4월 17일
오카자키 구니스케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7일1925년 8월 2일
상공대신다카하시 고레키요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1925년 4월 17일
노다 우타로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7일1925년 8월 2일
체신대신이누카이 쓰요시style="background:#9370DB;" |혁신구락부1924년 6월 11일1925년 5월 30일
아다치 겐조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5년 5월 30일1926년 1월 28일
철도대신센고쿠 미쓰구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6월 11일1926년 1월 28일
내각관방장관에기 다스쿠style="background:#FFE4C4;" |정우본당1924년 6월 11일1925년 8월 2일
내각법제국 장관쓰카모토 세이지style="color:inherit;background:;" |무소속1924년 6월 11일1925년 8월 2일
정무차관[1]
담당이름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 정무차관나카무라 다카시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내무 정무차관가타오카 나오하루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대장 정무차관하야미 세이지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육군 정무차관세키 와치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5년 2월 18일
공석1925년 2월 18일1925년 4월 20일
후루하타 모토타로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5년 4월 20일1925년 8월 10일
해군 정무차관하타 도요스케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4월 20일
다케우치 사쿠헤이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5년 4월 20일1925년 8월 10일
사법 정무차관구마가야 나오타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문부 정무차관스즈오키 구라지로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6년 1월 28일
농상무 정무차관미쓰치 주조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4월 1일
농림 정무차관미쓰치 주조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1925년 8월 3일
상공 정무차관공석1925년 4월 1일1925년 4월 20일
하타 도요스케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20일1925년 8월 10일
체신 정무차관고지마 가즈오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6월 1일
다노모기 게이키치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5년 6월 1일1926년 1월 28일
철도 정무차관다와라 마고이치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사무관[1]
담당이름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 사무관나가이 류타로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6년 1월 28일
내무 사무관스즈키 후지야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6년 1월 28일
대장 사무관미키 부키치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6년 1월 28일
육군 사무관가와사키 가쓰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해군 사무관스가와라 덴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사법 사무관이와사키 고지로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문부 사무관가와카미 데쓰타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농상무 사무관호리키리 젠베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4년 8월 12일1925년 4월 1일
농림 사무관공석1925년 4월 1일1925년 4월 20일
구로즈미 나리아키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20일1925년 8월 10일
상공 사무관호리키리 젠베style="color:inherit;background:;"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1925년 4월 20일
노무라 가로쿠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5년 4월 20일1926년 1월 28일
체신 사무관우에하라 에쓰지로style="background:#9370DB;" |혁신구락부1924년 8월 12일1925년 8월 10일
철도 사무관후루야 요시타카style="color:inherit;background:;" |호헌회1924년 8월 12일1926년 1월 28일


3. 1. 국무대신 (1924년 6월 11일 ~ 1925년 8월 2일)

1924년 6월 11일부터 1925년 8월 2일까지 존속한 가토 다카아키 내각의 국무대신은 다음과 같다.[1][2]

직책이름정당/출신비고
내각총리대신가토 다카아키귀족원, 헌정회 총재
외무대신시데하라 기주로외무성, 남작
내무대신와카쓰키 레이지로귀족원, 헌정회
대장대신하마구치 오사치중의원, 헌정회
육군대신우가키 가즈시게육군 중장
해군대신다카라베 다케시해군 대장
사법대신요코타 센노스케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2월 5일 사망[3]
다카하시 고레키요중의원, 입헌정우회임시 겸임
1925년 2월 5일 겸임[4]
1925년 2월 9일 면[5]
오가와 헤이키치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2월 9일 임명[5]
문부대신오카다 료헤이귀족원, 무소속
농상무대신다카하시 고레키요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 폐지[6]
농림대신다카하시 고레키요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 임명[6][7]
1925년 4월 17일 면[8]
오카자키 구니스케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7일 임명[8]
상공대신다카하시 고레키요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일 임명[6][7]
1925년 4월 17일 면[8]
노다 우타로중의원, 입헌정우회1925년 4월 17일 임명[8]
체신대신이누카이 쓰요시중의원, 혁신구락부1925년 5월 30일 면[9]
아다치 겐조중의원, 헌정회1925년 5월 30일 임명[9]
철도대신센고쿠 미쓰기중의원, 헌정회


3. 2. 내각 서기관장・법제국 장관 (1924년 6월 11일 임명)

1924년 6월 11일, 가토 다카아키 내각의 내각서기관장에는 에기 쓰바사가, 법제국 장관에는 쓰카모토 세이지가 임명되었다.[2] 에기 쓰바사는 귀족원, 헌정회 출신이며, 쓰카모토 세이지는 내무성 출신이다.[2]

3. 3. 정무차관 (1924년 8월 12일 임명)

가토 다카아키 내각의 정무차관은 1924년 8월 12일에 임명되었다.[1]

  • 외무 정무차관: 나카무라 다카시(입헌정우회, 1925년 8월 3일 사임)
  • 내무 정무차관: 가타오카 나오하루(헌정회)
  • 대장 정무차관: 하야미 세이지(헌정회)
  • 사법 정무차관: 구마가이 나오타(입헌정우회, 1925년 8월 3일 사임)
  • 문부 정무차관: 스즈오키 구라지로(헌정회)
  • 농상무 정무차관: 미쓰치 주조(입헌정우회, 1925년 4월 1일 사임)
  • 농림 정무차관: 미쓰치 주조(입헌정우회, 1925년 4월 1일 임명, 1925년 8월 3일 사임)
  • 상공 정무차관: 하타 도요스케(입헌정우회, 1925년 4월 20일 임명, 1925년 8월 3일 사임)
  • 철도 정무차관: 다와라 마고이치(헌정회)


육군 정무차관과 해군 정무차관, 체신 정무차관은 자료에 명시되지 않았다.

3. 4. 참여관 (1924년 8월 12일 임명)

1924년 8월 12일에 임명된 참여관은 다음과 같다.[1]

  • 외무 참여관: 나가이 류타로(중의원, 헌정회)
  • 내무 참여관: 스즈키 후지야(중의원, 헌정회)
  • 대장 참여관: 미키 다케요시(중의원, 헌정회)
  • 육군 참여관: 가와사키 가쓰(중의원, 헌정회)
  • 해군 참여관: 스가와라 덴(중의원, 입헌정우회, 1925년 8월 3일 사임)
  • 사법 참여관: 이와사키 고지로(중의원, 입헌정우회, 1925년 8월 3일 사임)
  • 문부 참여관: 가와카미 뎃타(중의원, 입헌정우회, 1925년 8월 3일 사임)
  • 농상무 참여관: 호리키리 젠베(중의원, 입헌정우회, 1925년 3월 31일 사임)
  • 농림 참여관: 구로즈미 나리아키(중의원, 입헌정우회, 1925년 4월 20일 임명, 1925년 8월 3일 사임)
  • 상공 참여관:
  • 체신 참여관: 우에하라 에쓰지로(중의원, 혁신구락부, 1925년 8월 3일 사임)
  • 철도 참여관: 후루야 요시타카(중의원, 헌정회)


국무대신을 보좌하고 정부(내각)와 의회 간의 연락을 담당하는 정무차관과 참여관의 두 정무관이 설치된 것은 1924년(다이쇼 13년) 8월, 호헌 3파 내각 때였다.[1] 정무관의 임명은 통상 새 내각 출범 후 수일에서 수 주 정도의 기간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퇴임도 다음 내각이 발족하여 새로운 정무관이 임명되는 것을 기다려 이루어졌다.[1]

3. 5. 국무대신 (1925년 8월 2일 개조 ~ 1926년 1월 30일)

1925년 8월 2일 내각 개편이 이루어졌다.[1] 개조 내각의 국무대신은 다음과 같다.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내각총리대신가토 다카아키귀족원, 헌정회, 자작유임, 1926년 1월 28일 사망,[18] 헌정회 총재
외무대신시데하라 기주로외무성, 남작유임
내무대신와카쓰키 레이지로귀족원, 헌정회유임, (헌정회 부총재→) 헌정회 총재
대장대신하마구치 오사치중의원, 헌정회유임
육군대신우가키 가즈시게육군 중장유임
해군대신다카라베 다케시해군 대장유임
사법대신에기 다스쿠귀족원, 헌정회첫 입각
문부대신오카다 료헤이귀족원, 무소속단유임
농림대신하야미 세이지중의원, 헌정회첫 입각
상공대신가타오카 나오하루중의원, 헌정회첫 입각
체신대신아다치 겐조중의원, 헌정회유임
철도대신센고쿠 미쓰기중의원, 헌정회유임



가토 다카아키 총리가 1926년 1월 28일에 사망하면서,[18] 같은 날 와카쓰키 레이지로 내무대신이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로 임명되어[18] 1월 30일까지 직무를 대행했다.[18]

3. 6. 내각 서기관장・법제국 장관 (1925년 8월 2일 임명)

1925년 8월 2일, 가토 다카아키 내각의 개편으로 내각서기관장과 법제국 장관이 임명되었다.[1][11] 내각서기관장에는 쓰카모토 세이지가 임명되었고,[1][11] 법제국 장관은 8월 10일까지 공석이었다가 이후 야마카와 다다오가 임명되었다.[1][19]

직명성명출신 등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서기관장27쓰카모토 세이지55px내무성
법제국 장관-(결원)1925년 8월 10일까지
24야마카와 다다오55px외무성1925년 8월 10일 임명[19]


3. 7. 정무차관 (1925년 8월 10일 임명)

가토 다카아키 내각의 정무차관은 1925년 8월 10일에 임명되었다.[1]

  • 외무 정무 차관: 야부키 쇼조(야부키 쇼조, 귀족원, 무소속, 남작)
  • 내무 정무 차관: 다와라 마고이치(중의원, 헌정회)
  • 대장 정무 차관: 다케우치 사쿠헤이(중의원, 헌정회)
  • 육군 정무 차관: 미즈노 나오시(귀족원, 무소속, 자작)
  • 해군 정무 차관: 이노우에 큐시로(귀족원, 무소속, 자작)
  • 사법 정무 차관: 혼다 쓰네요시(중의원, 헌정회)
  • 문부 정무 차관: 스즈오키 구라지로(중의원, 헌정회)
  • 농림 정무 차관: 고야마 쇼주(중의원, 헌정회)
  • 상공 정무 차관: 사쿠세 군노스케(중의원, 헌정회)
  • 체신 정무 차관: 다모노기 게이키치(중의원, 헌정회)
  • 철도 정무 차관: 후리하타 모토타로(중의원, 헌정회)


국무대신을 보좌하고 정부(내각)와 의회 간의 연락을 담당하는 정무차관은 1924년 8월, 호헌 3파 내각 때 설치되었다.[1] 정무차관은 주로 젊은 의원들이 임명되었다.[1] 정무관의 임명은 통상 새 내각 출범 후 수일에서 수 주 정도의 기간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퇴임도 다음 내각이 발족하여 새로운 정무관이 임명되는 것을 기다려 이루어졌다.[1]

3. 8. 참여관 (1925년 8월 10일 임명)

1925년 8월 10일에 임명된 참여관은 다음과 같다.[1]

  • 외무 참여관: 나가이 류타로 (중의원, 헌정회)
  • 내무 참여관: 스즈키 후지야 (중의원, 헌정회)
  • 대장 참여관: 미키 다케요시 (중의원, 헌정회)
  • 육군 참여관: 미조구치 나오아키(귀족원, 무소속, 예비역 육군 소장, 백작)
  • 해군 참여관: 이토 지로마루 (귀족원, 무소속, 자작)
  • 사법 참여관: 야나미 다케하루 (중의원, 헌정회)
  • 문부 참여관: 야마미치 조이치 (중의원, 헌정회)
  • 농림 참여관: 다카다 운페이 (중의원, 헌정회)
  • 상공 참여관: 노무라 가로쿠 (중의원, 헌정회)
  • 체신 참여관: 가와사키 가쓰시 (중의원, 헌정회)
  • 철도 참여관: 후루야 요시타카 (중의원, 헌정회)


국무대신을 보좌하고 정부(내각)와 의회 간의 연락을 담당하는 정무차관과 참여관은 1924년 8월, 호헌 3파 내각 때 설치되었다.[1] 정무관은 주로 여당의 젊은 의원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새 내각 출범 후 수일에서 수 주 정도의 기간을 두고 임명되었다.[1] 정무관의 퇴임은 다음 내각이 발족하여 새로운 정무관이 임명될 때까지 이루어졌기 때문에, 재임 기간은 날짜상으로 두 내각에 걸쳐 나타난다.[1] 그러나 정무관은 정치 임용관이므로, 임명한 내각이 총사퇴하면 그 직책은 실질적으로 소멸되었다.[1]

4. 주요 정책

1924년 5월 10일 실시된 제1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호헌 삼파가 중의원 과반수를 획득하면서, 1924년 6월 11일 가토 다카아키를 총리로 하는 가토 다카아키 내각이 출범했다.


  • 보통 선거법: 호헌 삼파는 정권 획득 전부터 선거권에서 납세액 제한을 철폐하고 만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보통 선거법 제정을 주장했다. 추밀원, 귀족원, 야당 정우본당 및 정우회 내 반주류파의 저항과 반발을 받았으나, 조각 직후 입안을 시작하여 반년 이상 각 세력과의 조율을 거쳐 1925년 3월 29일 양원 협의회를 통해 성립되었다. 선거 방법으로는 호헌 삼파 간 선거구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선거구제를 채택했다. 이는 전시 중 한 시기를 제외하고 1994년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로 전환될 때까지 70년 가까이 지속되었다.
  • 치안유지법: 소련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도 공산주의 사상이 유입되어 1922년 제1차 공산당(비합법)이 결성되었다. 1924년 해산 후에는 노동 운동 참여와 공산주의 사상 침투를 진행하고 있었다. 보통 선거법 도입에 대응하는 형태로, 공산주의 사상의 영향을 억제할 목적으로 치안유지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을 비롯한 반체제 운동 탄압에 악용되었다.
  • 소련과의 국교 수립: 일소 기본 조약 체결을 통해 소련과의 국교를 수립했다.
  • 노동 쟁의 조정법 제정: 노동 쟁의 조정을 위한 법률을 제정했다.
  • 군비 축소: 우가키 군축을 통해 육군 2개 사단을 감축했다.
  • 귀족원 개혁: 제국학사원 선출 의원을 설치하고, 유작 의원 정수를 삭감하는 등 귀족원 개혁을 단행했다.
  • 육군 현역 장교 학교 배속령, 학교 훈련 창설: 육군 현역 장교 학교 배속령을 시행하고 학교 훈련을 창설했다.

5. 내각의 붕괴

1924년 6월 11일부터 1926년 1월 30일까지 존속한 가토 다카아키 내각은 연립 내각의 붕괴와 재구성을 거치며 막을 내렸다. 집권 초기 호헌 3파 (헌정회, 입헌정우회, 혁신 구락부) 연립 내각은 시간이 지나면서 균열이 발생했다.[1] 1925년 4월 17일, 입헌정우회의 다카하시 고레키요 총재는 각료직에서 물러났고, 5월 14일에는 당 총재직도 사임했다. 뒤를 이은 다나카 기이치 신임 총재는 입각하지 않았다.[1] 또한, 혁신구락부도 해산되면서 일부가 정우회에 합류하여, 연립 내각은 헌정회와 입헌정우회의 연립으로 축소되었다.

7월에 들어서면서 정우회는 정권 이탈을 요구했고, 가토 다카아키 총리는 정우회가 요구한 양세 위임에 반대하여 내각 불일치가 발생했다.[1] 결국 1925년 7월 31일, 가토 내각은 총사퇴했다.[1]

그러나 사이온지 긴모치 원로는 다시 가토를 총리로 지명하여 헌정회 단독 내각으로 존속하게 했다. 이는 민의에 기반하지 않은 다수파 공작에 의한 정권 교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사이온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1926년 1월 28일, 가토 다카아키 총리가 사망하면서[1] 내무대신이었던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임시 총리직을 겸임한 후 총사퇴했다.[1] 이후 와카쓰키 레이지로에게 조각의 대명이 내려져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이 발족하면서 헌정회 내각이 지속되었다.[1]

6. 평가 및 역사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Katō Takaaki Cabinet http://www.kantei.go[...]
[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3年6月11日
[3] 간행물 『官報』第3736号「彙報」 https://dl.ndl.go.jp[...] 大正14年2月6日
[4] 간행물 『官報』号外「叙任」 https://dl.ndl.go.jp[...] 大正14年2月5日
[5]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2月9日
[6] 문서
[7] 간행물 『官報』号外「叙任」 https://dl.ndl.go.jp[...] 大正14年4月1日
[8]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4月17日
[9]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5月30日
[10] 간행물 『官報』第3592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3年8月13日
[11] 간행물 『官報』第3884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8月4日
[12] 간행물 『官報』第3796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4月20日
[13] 문서
[14] 간행물 『官報』第3781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4月2日
[15] 간행물 『官報』第3831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6月2日
[16] 문서
[17]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8月2日
[18] 간행물 『官報』号外「授爵・叙任及辞令」「彙報」 https://dl.ndl.go.jp[...] 大正15年1月28日
[19] 간행물 『官報』第3890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大正14年8月11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